cover image

tips

제 인스타그램은
왜 반년째 팔로워 300명일까요😭

인스타그램 성장시키는 3step

Editor : Hyojeong Choi
Designer : Kim Soyeon

인스타그램 노출과 성장에 관해 고민하는 크리에이터님들을 위해 이번 레터에서는 인스타그램 노출이 잘 되는 방법을 알려 드리려고 합니다.

 

 

알고리즘 = 인게이지먼트

사람들이 인스타그램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은 어디일까요? 바로 탐색 탭이에요. 콘텐츠 노출의 80~90%는 탐색 탭에서 일어난다고 해요. 그래서 콘텐츠가 대박나려면 탐색 탭에 노출돼야 해요. 그럼 알고리즘은 어떤 콘텐츠를 탐색 탭에 노출시킬까요? 유저들을 앱에 머무르게 하려면 퀄리티가 좋고 재미있는 콘텐츠를 보여줘야겠죠. 알고리즘은 ‘인게이지먼트’ 즉, 좋아요, 댓글, 공유, 저장 수로 '퀄리티가 좋고 재미있는 콘텐츠'를 판단해요.

 

 

내 계정의 인게이지먼트는 어느 정도?

우선 내 계정의 인게이지먼트는 어느 정도인지 확인해봐요. 구글에 ‘instagram engagement calculator’를 검색해서 가장 위에 뜨는 Phlanx라는 사이트*에 들어가보세요. 그리고 검색창에 인스타그램 아이디를 입력하면 해당 계정의 인게이지먼트가 어느 정도인지 나온답니다. 5% 이상이면 인게이지먼트가 좋다고 볼 수 있어요. 예시로 차은우 님의 계정을 검색해보니 거의 10% 가까이 나오네요. (부럽..) 만약 내 계정의 인게이지먼트가 5% 이하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Phlanx에서는 하루에 세 번만 인게이지먼트를 측정할 수 있는 점 참고해주세요!

 

 

반응 좋은 콘텐츠들의 공통 키워드를 찾자

인게이지먼트가 높은 계정을 만들려면 두 가지가 필요해요. 첫 번째는 큰 니즈예요. 사업에서 소비자의 니즈가 중요하듯 콘텐츠에서도 크고 간절한 니즈가 중요해요.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만약 내가 직장인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만들고 싶다면, 직장인을 타겟팅하는 유명 크리에이터들의 콘텐츠를 분석해보세요. 그들의 콘텐츠를 리스트업하고, 반응 좋은 콘텐츠들에 어떤 키워드가 공통으로 들어갔는지 살펴보세요. 예를 들어 ‘의지박약’, ‘시간 관리’, ‘포트폴리오’ 같은 키워드들이 공통으로 쓰였다면 그 키워드들이 곧 큰 니즈인 거죠.

 

 

팬&고객의 목소리를 듣자

큰 니즈를 찾았다면 두 번째는 '큰 니즈를 충족시키는 콘텐츠'를 찾아야 해요. 댓글이나 DM을 잘 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어요. 예컨대, ‘포트폴리오’를 소재로 한 직장인 타겟 콘텐츠 중 어떤 건 반응이 좋고, 어떤 건 반응이 좋지 않다면, 댓글에서 그 이유를 알 수 있어요. '너무 어려워요', '그래서 어떻게 하라는 거예요?' 같은 반응이 많다면, ‘사람들은 포트폴리오를 잘 쓰고 싶지만, 에너지를 들여 공부하고 싶지는 않구나’라고 추측할 수 있어요. 그럼 사람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바로 써먹는 포트폴리오 템플릿 제공 콘텐츠’ 같은 걸 만들 수 있겠죠.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지 않고 머릿속으로 상상만 해서는 답이 나오지 않는답니다.

 

 

정리하면...

콘텐츠가 탐색 탭에 노출되려면 인게이지먼트가 중요해요. 먼저 내 계정의 인게이지먼트를 측정해보세요. 수치가 낮다면 인게이지먼트가 높은 콘텐츠를 만들어야 해요. 유명 크리에이터들의 계정을 분석해 큰 니즈를 찾고, 사람들과 소통하며 니즈를 충족시키는 콘텐츠가 뭔지 알아내 보세요!

Editor : Hyojeong Choi
Designer : Kim Soyeon